한겨레 노조위원장 자리가 6개월째 비어 있다. 전국언론노조 한겨레신문지부는 전임 노조 집행부가 노조비 유용 논란으로 지난 4월 자진사퇴한 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다. 한겨레 노조 선거관리위원회는 7차 공고까지 냈으나 현재 위원장을 하겠다고 나선 인사는 없다.

한겨레의 한 기자는 10일 통화에서 “구성원들이 위원장 자리에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며 “노조비 유용 사고가 터진 뒤 위원장직을 이어가야 한다는 부담이 있을 것이고, 전반적으로 언론 상황이 좋지 못한 데서 비롯한 어려움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서울 공덕동 한겨레 사옥. 사진=한겨레.
▲ 서울 공덕동 한겨레 사옥. 사진=한겨레.

올해 초 언론노조 한겨레지부 조합원들의 문제 제기로 노조 전임자들(지부장·사무국장)의 노조비 유용 의혹이 불거졌다. 의혹 해명을 요구받던 지부장과 사무국장은 지난 4월 자진사퇴했고, 이후 노조 구성원들이 자체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전임자들의 조합비 부정 사용 등 비위 사실을 밝히며 사태를 수습했다. 노조 간부들의 노조비 유용 사태를 거치며 일부 젊은 조합원들이 노조를 탈퇴하기도 했다. 노조에 대한 실망감과 회의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됐다. 또 다른 기자는 “예전에도 수차례 노조 임원 모집 공고 끝에 집행부가 간신히 구성되곤 했다. 다만 과거와 비교해보면, 노조위원장 공석 상황을 심각하게 보지 않는 분위기도 있다”고 전했다.

실제 2021년 공석 상태였던 한겨레 노조 집행부가 10개월 만에 출범한 적 있고, 경향·한국일보 등 주요 신문사 기자들도 과거 노조위원장 후보를 찾지 못해 노조 비대위 체제를 가동한 바 있다.

‘노조 기피’ 풍조도 새 집행부 출범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한겨레의 고연차 기자는 “노조를 하면 아무래도 경영진과 부닥치게 된다. 이를 불편해 하는 분위기가 있다”며 “노조 전임자는 1년 정도 현업을 떠나는데 그런 노조 활동이 자기 커리어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는 풍조와 함께 ‘모두의 일’을 하고 싶어하지 않는 조직문화도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겨레는 지난 8월 기준으로 61억여 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사측은 지난 6월 경영 악화를 반영한 수정 예산을 편성하고 올해 임금 동결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사측 관계자는 “임금 등 노조와 의논해 마무리할 것들이 있는데 현재 파트너가 없어서 확정을 못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