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소통 방안으로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과의 간담회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채널A는 <[단독]대통령실, 언론 접촉 늘린다…간담회 추진 검토>에서 “대통령실이 신년 대담 방송 이후 추가적인 언론 소통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이전 박근혜, 문재인 정부 때처럼 대통령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의 간담회를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KBS와의 신년 대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우리 언론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종종 만들겠다”고 했는데 언론사 간부와의 간담회 형식을 소통 방안으로 추가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채널A는 “또 정치, 경제 등 분야별 언론사 간부들과도 별도 간담회 자리를 갖고 소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대통령 결정만 남았다는 여권 관계자의 말을 인용했다.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단 간담회는 언론과의 스킨십 차원에선 소통 폭을 넓히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비공개로 진행될 여지가 있다.

신년 기자회견 대신 방송사 대담을 선택하면서 민감한 현안 이슈를 소화할 수 있을지 우려를 낳았고, 실제 ‘국영방송의 홍보 인터뷰’가 됐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언론사 간부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 대한 평가도 형식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대통령실 출입기자단 소속 언론사가 89개사에 달하는 만큼 참석사 범위 등을 놓고 그 기준을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는 채널A의 전망처럼 폐쇄형 간담회가 될 수 있어 참석 대상 기준을 놓고 갑론을박이 예상된다. 집권 초 윤석열 대통령은 언론사 국장을 비공개으로 접촉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에도 우호적 비우호적 언론사를 나눠 진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체 내용을 공개할지, 보도 내용을 일부 제한할지, 아니면 비보도를 전제로 할지 등 진행 방식의 구체적인 결정에 따라서도 여론이 나뉠 것으로 보인다.

▲ 7일 KBS 특별 대담 ‘대통령실을 가다’의 한 장면.
▲ 7일 KBS 특별 대담 ‘대통령실을 가다’의 한 장면.

이번 간담회 개최가 KBS 대담만으론 소통 의지를 보여주는데 한계가 있고, 실제 대담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면서 언론사 간부 간담회를 통해 반전을 꾀하려는 전략으로 보는 시각과 함께 대통령실의 소통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폭을 넓히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

일례로 지난달 21일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다른 주요국 사례도 검토했다”면서 “신년 회견을 진행한 국가도 있고 미국처럼 방송사와 대담하거나 중국처럼 신년사를 발표한 국가도 있었다. 우리는 이미 신년사를 했다”고 말했다. 김치찌개 환담회 방식을 검토했다 여론이 심상치 않게 흘러갔고, 이에 방송사와 대담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단계에서 나온 말이다. ‘중국이 신년사를 발표했다’라는 발언은 우리의 경우도 신년사를 발표했기 때문에 기자회견을 할 필요가 없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신년 기자회견을 대통령의 ‘선택’ 사항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 자체부터 대국민 소통을 기대할 수 없다.

앞서 전 대통령 박근혜는 2016년 4월 26일 청와대에서 45개 언론사 편집 보도국장 오찬 간담회를 열었다. 당시 전문 발표 뒤에 언론사 간부들이 질문하고 대통령이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됐고, 언론에 질의응답 내용이 보도됐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8년 4월 19일 남북정상회담을 일주일 앞두고 언론사 사장을 청와대로 불러 오찬을 가졌다. 당시 국내 언론사 사장 46명이 참석했다. 방송협회장과 신문협회장이 대표로 발언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