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일보 편집국장이 인턴이 쓴 기사를 본인 이름으로 내보내 사내에서 논란이다. 해당 국장은 논란이 일자 인턴들의 바이라인(기사에 붙는 기자 이름)을 지우고 기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미디어오늘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일보 인턴 5명은 지난달 8일부터 대구일보 사무실에 출근했다. 이들은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이노비즈협회’의 일자리지원센터 ‘미래내일 일경험 지원사업(인턴형)’을 통해 출근한 청년 인턴이다. 해당 사업은 신청 기업과 청년을 매칭해 미취업 청년이 기업의 업무를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 대구일보 CI. 사진=대구일보 페이스북 갈무리.
▲ 대구일보 CI. 사진=대구일보 페이스북 갈무리.

대구일보는 지난 8월12일 해당 사업을 신청했다. 본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 기업은 참여 청년 1인당 월 20만원, 참여 청년 인턴은 1인당 월 130만원을 지원받는다. 고용노동부에서 하는 사업을 이노비즈협회가 위탁받은 구조로, 해당 지원금은 정부보조금이다.

대구일보에 출근한 인턴 5명의 근무 기간은 4개월이다. 하지만 해당 인턴들의 업무는 불분명하다. 내부 증언에 따르면, 인턴들은 편집국과 분리된 자회사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다. 편집국 내부에선 이들이 누구인지조차 전혀 모르는 기자들이 대다수다. 기자들 중 오직 최미화 편집국장만이 이들에게 과제를 주고, 지시하고, 소통하고, 기사를 데스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턴들이 쓴 기사는 지난달 12일부터 대구일보 온라인 홈페이지에 게재됐다. 5명의 기자 이름으로 대구 지역이 아닌 중앙정부부처 소식 보도자료 기사가 쏟아졌다. 홈페이지엔 ‘○○○(인턴 이름) 기자’라는 이름으로 기사가 게재됐지만, 본문 맨 아래에는 ‘최미화 기자’라는 바이라인이 중복돼 달렸다. 미디어오늘이 사측에 인턴 업무에 대해 질의한 후인 17일 오후 홈페이지에선 돌연 해당 인턴들의 바이라인이 사라졌고, 최미화 기자의 바이라인만 남아있다.

▲ (왼쪽) 수정되기 전 대구일보 '국토부·복지부, 경로당 등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관리 강화한다... 노인 일자리 창출까지' (2023.10.17) 기사. 인턴의 이름이 게재돼있다. 수정된 후엔 최미화 국장의 이름으로 바뀌어있다. 
▲ (왼쪽) 수정되기 전 대구일보 '국토부·복지부, 경로당 등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관리 강화한다... 노인 일자리 창출까지' (2023.10.17) 기사. 인턴의 이름이 게재돼있다. 수정된 후엔 최미화 국장의 이름으로 바뀌어있다. 
▲ (왼쪽) 수정되기 전 대구일보 '국토부·복지부, 경로당 등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관리 강화한다... 노인 일자리 창출까지' (2023.10.17) 기사. 인턴의 이름이 게재돼있다. 수정된 후엔 인턴의 이름이 사라졌다.  
▲ (왼쪽) 수정되기 전 대구일보 '국토부·복지부, 경로당 등 소규모 취약시설 안전관리 강화한다... 노인 일자리 창출까지' (2023.10.17) 기사. 인턴의 이름이 게재돼있다. 수정된 후엔 인턴의 이름이 사라졌다.  
▲ 수정되기 전(왼쪽) 기사 바이라인과 수정된 후 바이라인. 인턴의 기사가 최미화 국장 바이라인으로 바뀌어있다.
▲ 수정되기 전(왼쪽) 기사 바이라인과 수정된 후 바이라인. 인턴의 기사가 최미화 국장 바이라인으로 바뀌어있다.
▲ 수정되기 전(왼쪽) 기사 바이라인과 수정된 후 바이라인. 인턴의 기사가 최미화 국장 바이라인으로 바뀌어있다.
▲ 수정되기 전(왼쪽) 기사 바이라인과 수정된 후 바이라인. 인턴의 기사가 최미화 국장 바이라인으로 바뀌어있다.
▲ 앞선 오른쪽 사진에서 김○○ 인턴의 이름으로 검색되는 하나의 기사를 눌러보면, 인턴 이름 없이 최미화 국장의 바이라인이 나온다. 
▲ 앞선 오른쪽 사진에서 김○○ 인턴의 이름으로 검색되는 하나의 기사를 눌러보면, 인턴 이름 없이 최미화 국장의 바이라인이 나온다. 

대구일보 편집국 내부에선 제대로 취재 교육을 받지 않은 인턴의 기사가 계속해 게재된 점과, 해당 인턴들이 편집국 기자들과 단절돼 중앙정부부처 소식 보도자료 기사만 쓰고 있다는 점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최 국장은 해당 인턴들은 기자가 아니며, 기사를 쓰지도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 국장은 18일 미디어오늘에 “인턴 기자를 고용한 적 없다”며 “(인턴이) 정부부처 부서에 올라와 있는 보도자료 중심으로 정리해주면 내가 데스킹을 한다. 국민들 알 권리 충족에 도움이 되는지 아닌지 내가 판단하고 내 이름으로 나간다. (인턴들은) 기자가 아니기 때문에 그 사람들 이름으로 나갈 수 없다”고 설명했다. 

온라인에 ‘기자’라는 직책과 인턴들 이름으로 기사가 올라왔는데 기사가 아니라고 할 수 있는지, 인턴들 바이라인은 갑자기 왜 지운 건지 묻자 최 국장은 “기사가 안바뀌었다. 무슨 기사가 바뀌었다고 그러나. (인턴들) 이름으로 기사가 나가지 않았다. 나갈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최 국장은 “글을 쓸 수 있는 통로로서 열어준 거지, 기자라고 발급해준 게 아니다. 기자로서 준 게 아니다”라고 재차 설명했다.

인턴 출근 사실을 왜 편집국 기자들에게 알리지 않았는지 묻는 질문엔 “데스크들에게 다 얘기를 했다. 경영국하고는 8월달부터 이 사업을 구상했다”며 “(인턴들은) 편집국 소속이 아니다. 수습기자나 인턴기자 개념이 아니다. 대구 출입처가 있는 기자들과 충돌되면 안되므로 중앙부처 보도자료를 정리하라고 한 것이다. 편집국 기자들이 너무 바쁘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