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1번 어뢰’의 부식 검사를 담당했던 당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한 박사가 합동조사단의 보고서 중 선체와 어뢰의 부식상태 비교 분석 관련 내용이 왜곡됐다고 8년 만에 밝혔다.

그는 사고해역에서 수거했다는 문제의 1번 어뢰가 바닷 속에 얼마나 있었는지 측정하기 어렵다고 보고했는데도 정작 정부의 천안함 합동조사결과보고서엔 1번어뢰와 천안함 선체 부식정도가 유사하다고 한 것처럼 썼다는 것이다.

뉴스타파는 13일 저녁 보도한 ‘추적 1번어뢰 천안함 재조사를 말한다’에서 김의수 전 국과수 연구원(현 한국교통대학교 교수)와의 인터뷰를 실었다. 또한 김 교수는 해당 1번 어뢰가 북한제인지도 분석 자체가 불가능했다고 뉴스타파는 전했다. 이 매체는 또 합조단이 천안함 함수 인양 당시 천안함에서 캠코더를 입수해 그 안에 있던 동영상을 복원했으나 이를 증거물 목록에서 제외했다고 보도했다.

김의수 전 국과수 박사 “합조단 보고서 내용 보고 당황스러워“

김의수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부교수는 인터뷰에서 “부식이라는 것은 주로 해수의 염기도라든지 온도, 용존 산소량에 따라 크게는 몇 십 배 몇 백 배까지도 차이가 난다”며 “1번 어뢰가 바닷속에서 어떻게 있었는지 그 상태를 모르고, 포지션을 모르고 또한 여러 재질이라든지 이런 부분들도 파악이 안 된 상태에서 부식 정도를 가지고 시간을 추정한다는 게 어렵지 않느냐(라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최대한 분석을 해서 밝히는 게 맞다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분석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교수는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해저) 잔류 시간을 추정하기 힘들다, 이렇게 결론을 (합조단에) 보낸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국방부가 제작 발표한 ‘천안함 피격사건 합동조사결과 보고서’(합조단 보고서)에는 김의수 박사 등이 정반대의 결과를 내놓은 것으로 실려 있다. 합조단 보고서는 “1번 어뢰, 선체의 시료를 채취해 서울대학교 권동일 교수, 강릉 원주대학교 최병학 교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김의수 박사가 합동으로 육안검사한 결과 어뢰추진동력장치 철 부분(고정타)과 선체 철 부분의 부식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고 기재했다.

이에 대해 김의수 교수는 그의 이름이 거론되고 ‘선체와 어뢰의 부식 정도가 유사하다, 그런 부분이 확인이 되었다’고 쓰여진 보고서를 본 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당시 이 보고서 내용을 봤을 때 당황스러웠다”며 “제가 선체 부식을 전혀 분석한 적도 없고, 또 육안상 두 개가 비슷하다, 이렇게 얘기를 한다는 것은 공학이나 과학을 한 입장에서는 그렇게 얘기하는 것 자체가 어폐이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 김의수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박사가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합조단 보고서가 왜곡됐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 김의수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박사가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합조단 보고서가 왜곡됐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 김의수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박사가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합조단 보고서가 왜곡됐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 김의수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박사가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합조단 보고서가 왜곡됐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육안으로도 분석하기 어렵다는 얘기였다. 그는 “(육안으로도 분석하기 어렵다는) 말씀을 드렸던 것 같다”며 “분석 장비를 통해서도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그걸 육안상으로 판단한다는 것은 더더욱 제가 보기에 말이 좀 어폐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윤덕용 전 합조단장(민간측 조사단장)은 뉴스타파와의 통화에서 “김의수 교수의 보고를 받은 기억이 없다”며 “(김의수 교수가) 거짓말을 하고있다”고 말했다. 윤 전 단장은 뉴스타파 심인보 기자와 통화에서 1번 어뢰 시편을 채취해 분석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뉴스타파가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국과수 어뢰 부식 검사 결과 보고서에는 어뢰의 바다 잔류시간 추정이 어렵다는 결론을 합조단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서를 보면, 국방부 합조단이 2010년 5월24일 국과수에 1번 어뢰 시편 두 조각을 채취해 보내면서 ‘부식층 분석을 통해 해수 잔류 시간을 추정해 달라’고 의뢰했다고 돼 있으며, 국과수는 부식층 분석을 통해서는 잔류시간을 추정하다는 게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그해 7월12일 이같은 결론을 합조단에 회신했다.

뉴스타파는 “김의수 교수의 증언이 국과수의 공식 문서로 확인된 것”이라며 “적어도 1번 어뢰의 부식 문제에 관한 한 국방부의 합동조사결과 보고서에는 심각한 왜곡이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라고 평가했다.

▲ 경기도 평택 해군 제2함대 사령부 안보공원에 전시된 천안함 선체 좌현. 사진=뉴스타파 영상갈무리
▲ 경기도 평택 해군 제2함대 사령부 안보공원에 전시된 천안함 선체 우현. 사진=뉴스타파 영상갈무리
“1번어뢰, 북한제 결론 내리기도 곤란”

이와 함께 김의수 교수는 1번 어뢰가 북한 어뢰로 단정하기도 어렵다고도 밝혔다. 그는 “어뢰 자체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양산용 어뢰가 아니고 시험용 어뢰라고 그래서 그냥 한번 만들어보는 그런 용도의 어뢰이고, 재질도 완전히 틀리다”라며 “같은 재질을 놓고 같이 비교를 해야지 생산기술적인 부분이나 조직적인 부분의 비교를 할 수가 있는데 재질 자체가 아예 틀리니까”라고 지적했다. 국방부가 갖고 있던 북한 어뢰는 시험용 어뢰 딱 하나였다고 한다.

다만 김 교수는 인터뷰에서 1번 어뢰의 생산기술은 우리나라나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후진적이었던 점은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캠코더 확보하고도 증거목록에서 제외

이와 함께 합조단은 천안함 선체에서 캠코더를 발견하고도 누락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뉴스타파는 보도했다. 합조단은 천안함 함수에서 캠코더를 발견해 국과수에서 영상까지 복원했지만 합조단 보고서 수거물 목록에는 빠졌다는 것이다. 뉴스타파는 “영상의 내용은 확인할 수 없었다”며 “국방부는 영상의 소재파악도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뉴스타파가 진선미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국과수 조사 증거물 감정서 13개 가운데 문서번호 ‘2010-M-12706’라고 돼있는 감정서에는 합조단이 국과수에 캠코더 안에 있던 영상물을 복원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돼 있다. 국과수는 이 테이프 안에 있는 영상을 복원해 합조단에 보냈다. 합조단 보고서 어느 곳에서도 함수에서 발견된 캠코더와 국과수에서 복구한 영상에 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없다.

▲ 합조단이 2010년 천안함 함수 인양직후 발견했다는 캠코더로, 합조단은그 안의 영상도 복원했으나 증거물 목록에서는 누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스타파가 진선미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사진자료. 사진=뉴스타파 영상
▲ 합조단이 2010년 천안함 함수 인양직후 발견했다는 캠코더로, 합조단은그 안의 영상도 복원했으나 증거물 목록에서는 누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스타파가 진선미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사진자료. 사진=뉴스타파 영상
이에 대해 국방부는 “당시 실무자에게 확인해보니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유의미한 자료가 아니었기 때문에 공개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생존병사 김윤일 “북한 어뢰 공격 확신하지만 재조사에는 동의”

천안함 사건 당시 상병으로 침몰 순간 함 내 전투상황실에서 당직을 서고 있던 생존자 김윤일 씨는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북한어뢰 공격은 확신하지마 천안함 재조사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천안함 예비역 전우회 부회장이기도 한 김씨는 천안함을 침몰 시킨 것이 100% 북한의 소행일 것이라고 지금도 확신하며, 근거는 합조단의 조사 결과라고 밝혔다. 

다만 취재진이 김씨에게 합조단 조사 결과가 부실하고 왜곡됐다는 취재 결과에 대해 설명해줬더니 김씨는 “천안함을 침몰시킨 것이 북한의 소행일 것이라는 믿음에 대해서는 변함이 없지만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합리적인 의혹이 있다면 사건을 재조사하는 것에 개인적으로 찬성한다”고 말했다.

▲ 천안함 생존병사 김윤일씨가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천안함 침몰원을 북한어뢰의 공격이라 확신하지만, 합리적 의문이 제기된다면 재조사를 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사진=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 천안함 생존병사 김윤일씨가 뉴스타파와 인터뷰에서 천안함 침몰원을 북한어뢰의 공격이라 확신하지만, 합리적 의문이 제기된다면 재조사를 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사진=뉴스타파 영상 갈무리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