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유세장 중심’에서 ‘미디어 중심’으로 선거 운동이 전환되면서 각 언론사의 취재시스템도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선 일부 언론사는 선거때마다 운영해온 ‘선거특별취재팀’을 구성하지 않은채 정치부 확대개편 형태로 대선에 임하고 있다.

특별취재팀을 가동하지 않은 곳은 TV 2사를 비롯한 조선일보 등 3개 언론사. 이들 언론사들은 정치부를 확대개편, 현 취재시스템으로 대선을 치르기로 했다. 조선일보 이상철 정치부장은 “과거에는 후보자들이 전국을 누비고 다니며 대규모 옥외유세를 활발하게 열어 인력이 많이 필요했다”며 “그러나 이번에는 후보자들의 유세 방식이나 규모가 대폭 축소되거나 단순하고 지방 보다 서울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져 취재 인력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이 탓인지 그동안 후보자 찬조연설장에 취재 기자를 거의 파견하지 않다가 대선 전이 막바지에 접어든 8일부터 ‘지역민심 파악’을 위해 찬조연설장에 기자를 내보내기 시작했다. MBC와 SBS도 선거취재 인력이 모자랄때 일부 기자를 지원받는 방식을 택하기로 하고 선거특별취재팀을 운영하지 않을 방침이다. 반면 KBS는 지난달 26일 본격 선거운동에 돌입함에 따라 특별취재팀을 구성, 가동중에 있다.

물론 이같은 취재팀 축소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다. 경향, 동아, 중앙, 한국 등 대선 특별취재팀을 구성한 다른 신문사들은 “지역 분위기를 전달하고 후보들간 공약의 일관성은 물론 전반에 걸친 후보 탐구를 위해선 밀착 취재가 불가피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언론사가 자체적으로 ‘공약 검증팀’을 구성, 가동에 들어간 것도 눈여겨 볼 부분.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은 이미 ‘대선 자문위원단’ ‘대선기획단’ 등 각계 전문가들로 대선 공약 검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동아는 정치부 기자들이 사전에 자문위원단과의 논의를 거쳐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하고 보도 직전에도 기획부를 통해 자문 교수들의 ‘검증’을 받도록하고 있다. 한국일보도 각계 인사 7명으로 구성된 ‘대선보도 자문위원단’을 통해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을 검증하는 한편 지면 제작의 자문과 조언을 받고 있다.

조선 등 여타 신문사들은 정당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가한 ‘행정부서’ 출입기자들을 동원 ‘공약 검증’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TV토론 등을 통해 사실상 15대 대선의 주 무대로 등장한 방송사들은 상대적으로 TV토론 등 기획성 프로에 밀려 당초 예상보다 공약 검증 작업등이 미미한 느낌이다.

KBS는 최근까지 대선 공약 점검 기획 특집을 8차례 내보낸데 이어 앞으로도 대선 이슈가 제기되면 특집을 기획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MBC 보도국도 지난달 1일 대선 공약 검증팀을 구성했으나 아직까지는 뚜렷한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다.

MBC는 당초 매주 후보별로 제시한 공약의 현실성과 실효성을 검증, 보도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아직까지 정치권이 폭로전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슈가 제기될 경우 부정기적인 형태로 공약검증팀을 운영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