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의 공약검증 보도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몇몇 신문사가 공약검증팀을 구성하거나 대선자문위원단을 구성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애초의 취지만큼 이들이 원활하게 운영되지는 못했다. 무엇보다도 IMF라는 변수로 인해 기존에 발표한 후보들의 공약이 별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됐고, 관심이 경제문제로 집중되자 공약검증팀 또는 대선자문위원단 등의 역할도 몇사람으로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기자들로 구성된 공약검증반을 운영한 신문사는 중앙일보와 한국일보. 전문위원 및 전문기자로 공약검증반을 구성한 중앙일보는 각 당 공약의 실효성을 전문기자가 직접 검증하는 공약검증시리즈를 내보냈다. 그러나 경제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름에 따라 공약비교도 경제문제로 집중됐으며, 경제전문기자가 공약검증보도를 거의 전담하게 됐다.

한국일보의 경우 대선기획단 아래 경제부 차장을 팀장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보통신등 5명으로 공약검증팀을 구성했다. 그러나 한국일보 공약검증팀은 지난 14일자 4개면에 걸쳐 IMF 이후 상황에 대한 대선후보들의 공약을 종합하는 보도를 한차례 내보냈을 뿐 가시적인 성과를 내놓지는 못했다. 한국일보는 각 당 공약의 실효성에 대한 교수들의 평가 및 시민단체의 반응을 지면에 함께 게재, 공약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을 하려고 시도했으나 일회성으로 끝났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공약검증팀을 구성하지는 않았지만 대선기획자문위원단을 둔 동아일보의 경우 당초 이들을 공약검증 보도의 기획단계부터 참여토록 할 계획이었으나 IMF로 상황이 급변함에따라 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했다. 당초 잡혀있던 공약 전반에 대한 기획을 IMF에 관련된 공약에 집중하기로 하고, 정치부 정당출입기자들이 각당 공약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하고 자문위원이 아닌 외부 전문가로부터 실효성에 대한 원고를 받았다.

또 권역별 판세분석과 함께 다룬 지역공약은 대선특별취재반의 각 지역전담 기자들이 검증하도록 했다. 결국 대선기획자문위원은 전혀 ‘활용’하지 못한 것이다.

한겨레는 정치, 경제, 사회1·2부 중견기자로 구성된 대선기획단에서 각 당후보들이 제시한 공약 전반에 대한 기획을 잡고, 각 분야별 출입기자들이 공약을 비교하는 한편 대선보도자문위원들이 공약의 실효성을 평가했다. 한겨레는 또 ‘현장의 소리’라는 제목으로 현장 관계자에게 관련 공약에 대한 입장을 청탁, 게재함으로써 다각적인 검증을 시도하기도 했다.

별도의 공약검증팀이나 자문위원단을 두지 않은 조선일보는 정치부 중에서도 정당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가한 ‘행정부서’ 출입기자들을 중심으로 ‘대선공약 집중조명’이라는 제목의 공약검증 시리즈를 내 보냈다. 이들 기자들은 3당의 주요공약을 당별로 1개씩 선정하고 이에대한 다른 두당의 평가와 실효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검증을 취합해 기사화했다.

이외에 국민일보는 현안 중심으로 대선후보들의 공약을 선정하고 정치부가 아닌 각 분야별 출입기자가 정치부기자로부터 각 정당의 공약 등 자료를 건네받아 공약검증 시리즈를 내보낸 반면, 경향신문은 IMF 이후 경제문제 관련 공약을 검증하며 정치부기자들이 경제부기자 또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기사화했다. 그러나 경향신문은 체계적으로 각당의 공약을 비교하는 공약검증보도를 하지는 않았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