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공동판매제(이하 공판제)를 실시할 경우 신문사의 영업수지가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보처가 언론연구원(원장 신우재)에 의뢰해 작성한 ‘신문 공동판매제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판제를 실시할 경우 신문 한 부당 월평균 영업수지가 현재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10대 중앙 종합일간지의 95년 결산을 기초로 신문 한부당 월 평균 영업이익을 계산해 본 결과, 평균 2백11원의 적자를 보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50만부의 발행부수를 가진 신문은 월 평균 1억5백여만원의 손해를 보는 상황이다. 그러나 공판제를 실시하면 신문 한부당 2백11원의 적자가 1천3백6원의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이같은 신문공동판매제에 대해 판매 실무자들과 판매책임자들은 상반된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연구원이 판매 연수에 참석한 판매 실무자(평사원과 차·부장급) 62명을 상대로한 설문조사결과 신문공판제에 찬성한 답변자는 40명(64.5%)으로 반대한 답변자 12명(35.5%)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찬성 이유로는 △판매비용절감(40%) △배달난 해소(37.1%) △불미스런 사태 예방(28.6%) △지국운영 원활화(14.3%) 등이었다. 실무자들의 생각과는 달리 판매 책임자인 판매국장들의 상당수는 공판제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거나 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일보, 서울신문의 책임자들만이 공판제를 찬성했으며 나머지 중앙종합일간지 판매책임자들은 반대했다. 특히 판매책임자들은 국고지원, 공익자금 지원 등 정부가 관여하는 방식의 제도로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판제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공동판매점 유형도 제시됐다. 재정적 어려움을 덜기 위해 두 개 신문 이상이 공동판매망을 꾸리는 ‘복합판매점’은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을 중심으로 자연발생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부분적인 공판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자가 많은 신문사의 지배를 배제하기 어렵고 한 판매점에서 다루는 신문이 2∼3개로 국한돼 독자들의 선택폭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국지적 공동판매회사’는 여러 신문을 동시구독하는 관청 밀집지역과 같은 지역에서 공동으로 별도의 회사를 설립해 배달효율을 높이고 경비를 절감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신문을 보는 독자들이 있는 지역에서 효율적이며 공판제의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의도나 광화문, 강남지역과 같은 사무실 밀집지역에서 효과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