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지방지에 사정 바람이 불까. 최근 지방지의 기류가 심상치 않다. 진원지는 지난달 13일 박지원 공보수석의 발언. 박 공보수석은 이날 자율적인 언론개혁을 강조하면서 지방지 문제를 거론했다. 박 수석은 “최근 지방언론의 폐해와 관련 봉급을 주지 않고 있다는 민원과 제보가 많이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정상적으로 봉급을 주는 회사는 도리어 어려움을 당하고 그렇지 않은 회사는 경쟁력 있는 회사로 부각되고 있다는 전화가 지방에서 많이 걸려온다”고 말했다. 특히 사이비 기자에 대한 정의를 “정상 봉급을 받고 일하지 않은 언론인”이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지방지 관계자들은 이같은 발언이 전해지자 김영삼 정부 초기 대대적으로 진행된 지방언론 사정을 연상하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당시 김영삼 정부는 언론사주 30여명을 비롯해 1백여명이 넘는 지방언론인을 사법처리했다. 이런 전례에 비춰 새정부가 또 다시 언론개혁을 내세워 지방언론을 건드리지 않을까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지방지 주재기자들의 경우 이를 감안해 극도로 몸 조심을 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한 주재기자는 “솔직히 말하면 털어서 먼지 나지 않은 기자가 어디 있느냐. 주재기자들의 근무 환경 자체가 비상식적인 상황에서 주재기자나 지방언론에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항변하기도 했다.

특히 정부가 다루기가 힘든 중앙언론의 비리나 로비 행태는 그냥 방치한채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방언론만 매번 때리는 식의 사정 작업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김영삼 정부의 지방언론사정이 결과적으로 지방언론의 구조적 개혁에는 실패하고 ‘건수 올리기식’의 ‘한건주의’에 머물렀다는 점에서 체계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별다른 실효를 거둘수 없다는 항변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수원지역에 소재한 한 신문사 기자는 “예전과 달리 최근에 불어닥친 경영난은 본질적으로 시장경쟁 원리가 철저히 관철되는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지방언론의 일부 폐해 역시 인위적인 사정을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취를 감출 소지가 많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