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원들의 노조 설립은 일반적인 의미의 노조 설립과는 다소 다른 배경을 갖고 있다. 이들의 노조 설립은 특정 경영진이나 사주를 겨냥한 것이 아니다. 구사(救社)개념이 강하다.

노조 설립이 더뎠고 이례적으로 노조 설립을 묻는 찬반 투표를 실시하기까지 했다. 노조설립의 지향점은 한 곳으로 향한다. 사실상 경영 공백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원들이 직접 ‘매듭’을 풀자는 것이다.

현재 YTN은 대주주측인 한전측이 증자를 추진하다가 난항에 부딪치고 정권 교체와 함께 한전측의 경영진 교체가 예고되면서 별다른 재정난 타개책을 찾지 못해 ‘파산’일보 직전에 처해 있다.

YTN은 설립 이후 누적적자만도 9백 70억원대인데다 월 운영자금이 최소한 25억원 이상이 소요되지만 수입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0억원 이하에 불과, 갈수록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

경영진과 일부 사원들이 나서 정부 산하 기관중 비교적 재정 여건이 나은 곳을 상대로 ‘SOS’를 치고 있지만 이 마저도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YTN 사원들의 경우 일단은 정부가 총체적인 실패로 귀결되고 있는 케이블TV 정책을 원점에서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단순히 YTN 뿐만 아니라 케이블TV 업계의 정상화란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은 8백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중계유선방송과의 활발한 교류 내지는 통합이 가능하도록 관련 법률을 개정,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숨통’을 터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YTN의 한 기자는 “이미 일부 유선방송의 경우 불법적인 형태이지만 갖가지 위성방송을 내보내 채널수만 50여개에 달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YTN의 경우 이러한 종합유선방송과의 교류만 허용된다면 충분히 자생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보도 채널에만 적용되는 소유제한선 철폐, 대기업의 소유 허용 등도 숙원 사항중의 하나이다. 이같은 법적 개정을 통해 YTN을 포함해 케이블TV 프로그램 공급 업체의 자생력을 갖추고 경쟁력 강화, 신규 자본 유치, 경영진 개선 등을 도모해야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YTN 사원들이 노조 결성을 계기로 활로를 모색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일각에선 “너무 늦었다”는 평가도 없지 않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