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노조가 회사와 합의 제시한 고용안정안에 대한 조합원 총투표 결과는 일면 각 국실별로 서로 다른 이해관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년간의 고용조정 유예를 전제로 도입키로 한 무급휴직제는 인력 부족 상태인 일부 부서에서는 사실상 적용되기 힘들었다. 노조 집행부는 이같은 점을 고려해 임금반납 등을 통해 타국의 무급휴직에 따른 임금손실분에 상응하는 고통분담안을 별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인력난을 겪고 있는 국실 직원들 입장에서 정상근무를 하면서 자신들만의 ‘임금삭감’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았던 반면 타 국실의 직원은 무급휴직을 갈 수 없는 이들 인력난 부서의 사정은 이해하지만 이들만이 예외가 되는 것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고용조정에 따른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됐던 국실쪽은 찬성의 입장이 많았던 반면, 인원 부족상태에 있던 국실쪽은 노조의 절충안에 대해 반대 입장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사 합의안이 부결된 데에는 차일석 사장, 윤흥렬 전무, 김삼웅 주필 등 새 경영진들이 부장급 이상 45명에 대한 국장석 대기발령 등 무리한 인원정리를 추진하려고 한 데 대한 반발이 컸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편집국의 한 기자는 “막내 기수들까지 정리명단에 넣는 등 옥석을 가리지 못하고 점령군같은 행태를 보인데 대한 내부의 정서적 저항감이 컸다”며 “편집국의 투표율이 높았던 것은 이같은 정서 때문이었다”고 전했다.

무급휴직제 수용을 댓가로 1년간의 고용조정 유예 약속을 받아낸다고 하더라도 이를 액면 그대로 신뢰하기 힘들었을뿐 아니라 1년 후에는 고용안정을 전혀 기대할 수 없다는 불안감으로 이어져 ‘반대투표’로 표면화됐다는 것이다.

이번 투표가 집행부의 신임여부를 걸고 실시된 것임에도 과반수 이상의 노조원들이 반대 의사를 표출한 것도 이같은 내부정서의 연장선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낙하산 인사’에 대해 애초 노조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아 협상과정에서 계속 회사측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게 된 상황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어쨌든 이같은 투표결과에 따라 사측은 그동안 밝힌 광고국 50%, 판매국 25%, 편집국 20명, 종합조정실 13명 등 각 국실별 고용조정 방안을 강행할 것으로 보여 고용조정을 둘러싼 내부진통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노조 집행부가 들어선다고 해도 이번 투표 결과로 인해 운신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어 사태 해결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