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계도용신문 예산삭감안 기자들 로비로 무산… 언론에 밉보여 집중표적되기도지방자치제가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지방언론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번 군포시 촌지사건에서 드러난 것처럼 지방자치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언론이 시정을 홍보해준 대가로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일상적으로 촌지를 받는 등 반자치적인 행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때문에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지방언론들이 지방자치단체의 예산만 축내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보도사례비 뿐 아니라 주민계도용 신문 구입과 언론사별로 돌아가며 정기적으로 게재해야하는 행정광고료 등도 지방자치단체로서는 달갑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를 없애는 것도 쉬운일이 아니다. 군포시의 사례에서도 드러나듯이 주민계도용 신문의 경우 예산을 삭감키로 했다가 기자들의 로비로 무산되는 사례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무리하게 지방언론의 눈총을 샀다가는 곤욕을 치르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언론과의 충돌을 피하는 것이 상례이다. 특히 지방언론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와 이해관계가 엇갈리거나 이권 개입시 마찰을 빚는 경우가 많다.

지방언론에 밉보여 집중적인 표적이 된 대표적인 사례는 경상남도 남해군 김두관군수가 취임후 기자실을 폐쇄하고 관례화돼 있던 촌지를 중단하면서 집중 포화를 받은 사건.

지방언론들은 김군수 당선직후 최연소 단체장에 개혁적 인사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나 김군수가 남해군청 기자실을 폐쇄하고 촌지를 없앤 이후, 연일 비판기사를 게재하는 등 갈등을 빚었다.

구청부지 매입을 둘러싼 안산시와 경인일보간의 공방전도 비슷한 경우다. 지난 96년 1월 안산시가 경인일보측이 매입하고자 하는 땅을 구청부지로 매입키로 결정했다가, 경인일보가 연일 머릿기사와 칼럼 등에서 안산시를 비판하는 기사를 게제해 곤욕을 치른 사건이다.

지난 4월 중부일보가 사장이 소유하고 있는 건설회사가 안양시 발주 공사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자 잇따라 머릿기사로 안양시장을 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한 것도 지방언론의 악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