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유튜브가 공식블로그(youtube.googleblog.com)를 통해 앞으로 사용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해 해를 끼치는 동영상이 덜 추천되게끔 노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유튜브는 “작년 한 해 동안 유튜브의 사용자를 위한 권장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백 가지 변경 작업을 수행했다”고 전하며 “올해는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위반하는 콘텐츠의 확산을 줄이는 방법을 자세히 검토하는 등 올해에도 계속 작업을 수행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영국 유력일간지 가디언은 이날 유튜브의 발표를 가리켜 “유튜브가 음모론과 극단주의를 증폭시킨다는 비판에 따른 변화”라고 설명한 뒤 “이 변화는 사용자들이 다음에 볼 동영상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 유튜브의 추천 기능에 대한 염려와 맞닿아 있다”고 보도했다. 유튜브는 알고리즘에 따라 추천영상을 선보이고 있는데 편견을 강화하는 식의 잘못된 정보를 계속 주입시켜 배타적인 공동체를 만든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정치 콘텐츠의 경우 가짜뉴스에 따른 확증편향의 폐해가 크다.

그렇다면 해를 끼치는 거짓정보 기준은 무엇일까. 유튜브는 이날 발표에서 명확한 정의를 내리지 못했지만 “심각한 질병을 치유하는 기적적인 거짓 치료법을 홍보하거나,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하거나, 9/11과 같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뻔뻔한 거짓 주장을 만들어내는 동영상들”을 일례로 들었다. 유튜브는 이어 “이러한 변화가 표현의 자유를 지키는 것과 사용자들이 책임을 다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유튜브. 디자인=이우림 기자.
▲ 유튜브. 디자인=이우림 기자.
그러나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음모론 전문가 조셉 우신스키 마이애미대 정치학과 교수는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이런 변화는 음모론자들의 분노를 일으킬 것”라고 전망한 뒤 “만약 어떤 콘텐츠가 ‘경계선’에 위치한다면 그건 선을 넘은 건가. 누가 그 선을 정하나. 무엇이 거짓 정보인지는 누가 결정하나”라고 반문했다. 지난해 구글코리아는 더불어민주당 허위조작정보특위가 ‘5·18 민주화운동 북한군 침투설’ 등 국내법 위반 소지가 있는 유튜브 동영상 104건에 대한 삭제를 요청했으나 거부했다.

유튜브는 구글에 이어 가장 큰 검색 엔진으로 세계 91개국에서 매월 19억 명이 로그인을 해 50억 개의 동영상을 보고 있다. 1분마다 400시간 분량의 동영상이 업로드 되며 현재 약 13억 개의 동영상이 저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동훈 광운대 인간컴퓨터상호작용학과 교수는 최근 세계일보 칼럼에서 유튜브 추천 시스템이 추천 영상을 고르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영상을 끝까지 본 경우를 좋은 사례로 △스킵을 했을 경우를 나쁜 사례로 훈련시킨다고 설명했다.

추천 순위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항목은 사용 경험이다. 정동훈 교수는 “(유튜브는) 사용자가 이 채널에서 몇 개의 동영상을 보았는지, 이 주제에 대한 동영상을 마지막으로 본 시간은 언제인지 등을 분석한다. 추천 시스템의 장점은 ‘알아서 다 해주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지만 문제는 이것이 정치나 사회 문제 같은 ‘가치관’과 연관이 될 때는 자신의 관점과 다른 콘텐츠에는 노출되지 않는 ‘필터 버블’에 갇힐 수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