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0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정책대응’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는 전병유 한신대 교수와 한국은행 황인도 박광용 박사가 1987년 이후부터 2016년까지 국내 노동시장의 변화를 추적해 연구한 이중노동시장 구조와 대안을 담았다. 보고서는 한국노동시장이 이중구조가 점차 심화돼 격차사회로 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같은 한국은행 보고서를 놓고 신문은 제각각 다른 곳에 방점을 찍었다. 동아일보와 한국일보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점차 사라져 간다고 지적했다.

▲ 11일자 동아일보 경제섹션 2면(왼쪽)과 한국일보 17면
▲ 11일자 동아일보 경제섹션 2면(왼쪽)과 한국일보 17면

동아일보 “정규직 전환 2005년 15.6%에서 2016년 5% 불과”

동아일보는 이 소식을 11일자 경제섹션 2면에 ‘비정규직 -> 정규직 5% 불과… 노동계층 사다리 점점 사라져’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학력과 나이 등 개인적 특성을 제외하고도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고착화 돼 간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이 2005년 15.6%였는데, 2016년엔 5%(4.9%)로 1/3로 크게 줄었다는 통계 수치에 주목해 이를 기사 제목에 반영했다.

한국일보도 비슷한 시각으로 11일자 17면에 ‘중소기업 -> 대기업 이직 사다리 10년새 반토막’이란 제목으로 보고서 내용을 전했다. 한국일보는 “중소기업 취업자가 취업 1년 뒤 대기업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2004~2005년 3.6%에서 2015~2016년 2.0%로 급감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 정규직 과보호에 주목

▲ 조선일보 11일자 경제섹션 4면
▲ 조선일보 11일자 경제섹션 4면
반면 조선일보는 같은 보고서를 11일자 경제섹션 4면에 보도하면서 ‘대기업 다닌다는 이유로 임금 46% 더 받는다’는 제목을 사용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 정규직이 과보호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 이를 제목으로 반영했다. 물론 보고서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러나 제목만으로 보면 최근 조선일보가 잇따라 보도해온 대기업 정규직노조에 대한 비난이 고스란히 담겼다.
▲ 한겨레 11일자 6면
▲ 한겨레 11일자 6면

한편 한겨레신문은 같은 보고서를 11일자 6면에 보도하면서 ‘대기업만 치솟는 임금 문제…기업 아닌 산별교섭 풀어야’라는 제목을 달아 노동시장 이중구조 고착의 해법에 주목했다. 한겨레는 “스웨덴은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추구하는 연대임금정책을 추진해 임금불균형을 축소할 수 있었다”며 스웨덴식 산별교섭을 대안으로 내놨다. 물론 이 역시 보고서에서 언급된 내용이다.

▲ 11일자 경향신문 18면(위)과 매일경제 12면
▲ 11일자 경향신문 18면(위)과 매일경제 12면

한겨레는 이 기사에서 “갈수록 심화하는 국내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해결하기 위해선 현재와 같은 기업 단위가 아니라 산업·업종 수준의 임금을 결정하고, 해고 대신 직무순환배치나 임금 조정을 쉽게 하는 방식의 노동유연성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향신문과 매일경제신문은 이날 18면과 12면에 같은 내용을 보도하면서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1.7배로 커져’와 ‘한은, 대중기 임금격차 1.7배로 악화’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두 신문은 임금격차 1.7배에 주목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