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여론은 네이버와 구글 등 인터넷 기업의 ‘가짜뉴스’ 확산 방지 노력이 부족하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오늘과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문항을 함께 작성하고 김성수 의원실·녹색소비자연대가 실시한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네이버·구글 등 인터넷 기업의 가짜뉴스(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이 충분하다는 응답은 18.6%에 그쳤다. 반면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은 69.4%에 달했다.

▲ 디자인=이우림 기자. ⓒ gettyimagesbank
▲ 디자인=이우림 기자. ⓒ gettyimagesbank

인터넷 기업을 통해 가짜뉴스(허위정보)로 의심되는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3.7%로 나타났고, 뒤 이어 ‘잘 모르겠다’(35.8%)와 ‘그렇지 않다’(20.5%) 순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높은 건 가짜뉴스의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인터넷 기업 가운데 구글·페이스북 등 해외기업이 한국에서 사회적 책무를 외면한다는 지적은 오래됐다. 이들은 미국에서는 정보 신뢰도에 따라 콘텐츠 노출 우선순위에 차등을 두거나 광고수익을 제한하는 등의 정책을 쓴다. 특히 유튜브는 지난 7월 ‘가짜뉴스’ 퇴치에 2500만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밝혔고 검색결과에 미리보기와 함께 연관뉴스 링크를 보여주고 일부 영상에는 사전 등 외부 텍스트를 함께 노출하는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모두 한국에선 안 하는 서비스다.

▲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인터넷 기업이 가짜뉴스(허위정보)로 의심되는 언론사의 콘텐츠를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문항에는 71.1%가 ‘그렇다’고 밝혔고 21.3%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국내에선 에스더기도운동과 같은 곳이 생산하는 가짜뉴스를 비롯해 조갑제닷컴·미디어워치 등 극우보수 성향 매체가 가짜뉴스와 결합해 포털과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쏟아내는 콘텐츠가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이용자들은 인터넷 기업의 대응을 주문하면서도 인터넷 기업이 직접 뉴스를 필터링하면 뉴스배열이 편향될 수 있다는 데 68.1%가 동의했다. 사업자 주도의 필터링이 갖는 딜레마를 드러내는 대목이다. 이는 해당 인터넷 기업의 투명성과 연관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 인터넷 기업이 뉴스를 배열하는 방법과 원칙을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는 응답은 23.2%에 그친 반면 66.2%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기업에 콘텐츠를 배열하는 알고리즘 공개를 강제하는 건 무리한 요구라는 지적도 있지만 알고리즘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알고리즘 원칙과 작동원리, 이로 인한 영향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이 2018년 발효한 새로운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은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는 당사자가 자동화된 의사결정에 대해 ‘설명을 들을 권리’를 신설했다. 이달부터 인공지능 알고리즘 전면 편집을 도입하는 네이버는 외부 전문가들에게 알고리즘의 배열 적절성을 검토 받고 공개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다.

▲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 인터넷 뉴스 서비스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네이버와 카카오가 유튜브처럼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 뉴스 제공’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뉴스수용자들의 평가는 부정적이었다. 뉴스를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것과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를 제공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나은지 묻자 59.6%는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 제공이 낫다’고 응답했다.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 제공’이 더 낫다는 응답은 17.7%에 불과했다. ‘모두에게 동일한 뉴스 제공’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50~59세(69.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29세(46.3%)에서 가장 낮았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8월15일 미국 나이트재단이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와 유사하다. 해당 조사에서 응답자 88%는 구글·페이스북·야후 등 인터넷 기업들이 뉴스 제공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개인 선호에 따른 맞춤형 뉴스보다는 모두가 똑같은 뉴스를 접해야 한다는 응답이 73%에 달했다.

이번 조사에서 인터넷 기업도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뉴스 매체와 동일한 규제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79.1%가 동의했다. 이는 뉴스수용자 대다수가 네이버와 카카오 등을 언론으로 인식한다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인터넷 동영상, 뉴스, 앱 마켓 등의 정보 서비스를 이용 중인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21일부터 9월27일까지 7일 동안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신뢰수준은 95.0%, 표본오차는 ±3.10%p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