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는 <문정인 “평화협정땐 미군 주둔 어렵다”>는 제목의 1면 머릿기사에서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다뤘다.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가 미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스 기고로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의 지속적인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 부분을 인용했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문정인 특보는 기고 글에서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와 관련해 보수층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며 “문 대통령은 중요한 정치적 딜레마에 직면할 것”이라고 했다.

다음은 2일자 아침종합신문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경향신문 “보수도 한반도 평화·안정을 원한다”
국민일보 “‘적대의 상징’ 확성기 철거”
동아일보 “‘20일경 판문점’ 北-美회담 준비 착수”
서울신문 “북·미 판문점회담 땐 엄청난 이벤트”
세계일보 “北 핵실험장 폐쇄 유엔도 확인해 달라”
조선일보 “문정인 ‘평화협정땐 미군 주둔 어렵다’”
중앙일보 “449만명 대 410만명 학생 숫자 예측 논란”
한겨레 “희망봉에서 널문리까지…4만km 평화 대장정”
한국일보 “‘판문점 임팩트’ 트럼프도 꽂혔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을 언급하면서 판문점이 주목받고 있다. 신문들은 판문점을 “세기의 담판 장소”라고 표현했다. 한국일보는 판문점 회담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역사적 과업을 이룬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상국가 지도자’,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운전자’라는 국제 정치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3국 지도자의 이해가 맞아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중앙일보는 사설 “‘비핵화’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이 최적이다”에서 “미국은 당초 북한과의 회담 장소로 제3의 장소를 바랐다. 스위스·스웨덴·싱가포르·몽골·괌 등 다섯 곳을 검토했고 제주도 등 한국 지역은 한국 정부의 개입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일찌감치 고려 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 2일자 경향신문 만평
▲ 2일자 경향신문 만평

최근 기류가 바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트위터에 “회담 장소로 남북한 경계의 평화의집·자유의집이 제3국보다 더 대표성 있고 중요하며, 지속 가능한 장소”라며 “일이 잘 해결되면 제3국이 아닌 그곳에서 하는 게 엄청난 기념행사가 될 것”이라고 썼다. 이를 두고 중앙일보는 “남북 정상회담 ‘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중앙일보는 “내용적으로 북한 비핵화에 집중하는 회담 장소로도 판문점이 최적”이라며 “미국의 목표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며 우리 또한 다르지 않다. 이런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한·미는 하나가 돼 움직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청와대는 북미 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리는 것을 반기면서도 여전히 제3국에서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남북 관계는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1일 육군은 민간인 통제구역에 설치된 고정형 대북 확성기를 철거했다. 북한도 이날 오전부터 대남 확성기 방송시설 철거에 착수하는 모습이 발견됐다.

경향신문은 “평화협정 위한 필수 과정 ‘군축’ 3단계로 진행된다”는 기사에서 “군축은 ‘군사적 신뢰 구축-운용적 군비 통제-구조적 군비 통제’ 등 3단계 시나리오로 진행된다”며 “군사당국 간 직통전화 설치에서 시작해 비무장지대 내 전방초소 철수, 장사정포 후방 배치 등 보다 실질적 조치를 서로 취한 뒤 무기·병력 감축이란 구조적 군축 단계로 나아가는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경향신문은 “특히 한국군의 2배에 가까운 120만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북한은 병력 감축에 적극 나설 공산이 크다”며 “상당 숫자를 ‘경제일꾼’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라고 봤다. 이어 “3단계까지 합의되면 남북은 현지사찰을 통해 군축 검증 절차를 밟게 된다”며 “다만 주한미군을 군축 대상에 포함할지 여부가 복병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2일자 서울신문 1면 기사
▲ 2일자 서울신문 1면 기사

한편 문 대통령은 오는 9일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도쿄를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양자 정상회담도 한다. 현직 대통령으로는 6년반 만의 일본 방문이다.

동아일보, 네이버 때리며 아웃링크 주장

동아일보는 사설에서 네이버를 두고 “공론장 기능을 잃었다”며 아웃링크를 법제화하자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드루킹’ 댓글 여론조작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가 진행되는 와중에도 네이버에는 여론조작이 횡행하고 있다”며 “온라인 여론조작은 댓글, 실시간급상승검색어, 연관검색어 등 네이버 서비스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네이버가 방문자와 체류시간을 늘려 수익을 극대화하려고 도입한 각종 ‘호객’ 서비스가 여론조작의 도구가 된 셈”이라고도 했다.

동아일보는 “온라인에서의 여론조작은 뉴스 유통 창구가 네이버에 쏠려 있는 탓”이라며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아웃링크’ 방식부터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국회 입법조사처가 1일 악성 댓글 처벌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포털의 법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을 언급하며 “댓글 조작의 폐해와 부작용이 커질 대로 커진 만큼 외부 규제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포털은 뉴스 편집 권한을 내려놓고 검색 업체로 남아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은 정파적 잣대에서 벗어나 관련 입법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진정성 없는 사과, 조현민

1일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가 경찰서에 출석하면서 기자들의 각종 질문에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하다”는 말만 여섯 번 반복한 것을 두고 서울신문이 사설에서 “사태 심각성 모르는 조현민의 앵무새 사과”라고 비판했다.

▲ 2일자 경향신문 사회면 기사
▲ 2일자 경향신문 사회면 기사

조 전 전무는 지난 3월 중순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광고 회의 중 대행업체 직원에게 유리컵을 던지고 물을 뿌린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신문은 “그의 사과 발언은 마음에서 우러난 사과라기보다 이 순간의 위기를 모면하려는 거짓 연기처럼 느껴질 수밖에 없다”며 “문제의 조현아씨를 회사로 복귀시킨 것만 봐도 대한항공의 위기관리 능력은 수준 이하”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뼈를 깎는 쇄신으로도 부족한데 회장 일가의 보신에만 급급하기 바빴다”며 “대한항공 직원만이 아니라 많은 국민이 이제는 조씨 일가의 퇴진만이 답이라고 보는 이유”라고 비판했다.

이어 “조씨 일가가 대한항공을 마치 택배처럼 활용해 밀수·탈세 의혹 등 범법행위까지 저질렀다는 제보가 줄을 잇자 뒤늦게 관세청·국토교통부·공정거래위원회까지 요란스럽게 나선 것도 한심하다”며 “조 회장 일가의 비리만 뒤질게 아니라 관료들의 뒤 봐주기도 단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도 사설 “‘오너 갑질’ 파문, 재벌가 체질 바뀌는 계기 돼야”에서 “한진그룹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라며 “한국의 재벌가 중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곳은 얼마나 되나. 외신까지 한국 대기업 오너의 갑질에 주목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재벌가의 체질, 문화, 기풍을 완전히 바꾸지 않으면 어떤 태풍이 불지 모른다”고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