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어떤 참사에서 사망자가 1300명을 넘을 수 있을까요. 전쟁 말고 비교할 수 있는 게 있습니까.”(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사회적 조명을 받은 지 7년 째에 접어드는 가운데 그 동안 공식 접수된 피해자 수는 6천 명, 이 중 사망자는 13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독성을 함유한 제품수가 43종류에 달하고 제품사용자수만 400만 명으로 추산됨에 따라 이같은 피해자 집계가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원인 물질로 지목된<br /></div></div>
                                <figcaption>▲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원인 물질로 지목된<br> 독성물질 CMIT/MIT 포함 제품들이 환경안전보건센터 내에 진열돼있다. 사진=손가영 기자</figcaption>
                                </figure>
                                </div><br><p></p><p>환경보건시민센터(이하 센터)는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7년 말까지 정부에 공식 접수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자 수가 5955명이고 그 중 사망자만 1292명으로 22%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p><p>사망자수는 이달 안으로 1300명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센터가 2018년 1월 둘째주까지 신고 건수를 추가 조사한 결과 사망자수는 1298명으로 집계됐다. </p><p>이날 피해신고 현황 보고서를 발표한 최예용 센터 소장 및 동석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은 “여전히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뿐”이라고 평가했다. 독성물질이 함유된 제품 사용자만 350~4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건강피해를 경험한 사용자만 40~50만 명, 사용후 병원진료를 경험한 사용자는 30~5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p><p>추산값은 지난해 5월26일 환경독성보건학회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개최한 ‘2017년 춘계학회’ 중 ‘가습기살균제 피해 규모 추정과 연관성이 확인된 새 질환들’ 특별 세션에서 발표됐다. </p><p>이경무 한국방송통신대 환경보건학과 교수가 시민 6993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규모’ 연구결과로, 환경부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판정기준을 보강하기 위해 의뢰한 연구 용역이다. </p><p>최 소장은 또한 “가습기살균제가 43종류에 달하고 파악된 판매량만 998만 개에 달한다”면서 “현재 정부는 앉은 자리에서 전화만 받는다. 전체 사용자를 찾고 파악해야 하는데 그걸 하지 않으니 (집계된) 피해 규모가 빙산의 일각이라고 하는 것”이라 비판했다.</p><p>이 때문에 피해자들의 촉각은 사회적참사 특별법(사회적 참사의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곧 출범할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에 쏠리고 있다. “아무리 피해자들이 요구해도 정부는 ‘소귀에 경읽기’”며 특조위의 발생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피해자 지원책 수립 역할에 기대를 갖고 있는 것이다. </p><p>중증 천식을 앓고 있는 피해자 조순미씨는 “피해자들은 가습기 참사에 대해 오래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해왔으며 정부·기업을 상대로 무엇인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는 분이 맡아주길 너무나도 기대하고 있다”면서 “10년을 기다려왔다. 이것(특별법 제정)이 어쩌면 우리에게 마지막 기회일 수 있는데 조사에서 조차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는 피해자’로 남을까 두렵다”고 밝혔다.</p><p>특조위는 상임위원 5명을 포함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특조위원은 △국회의장 추천인사 1명 △여당 추천인사 4명 △야당 추천인사 4명 등을 국회에서 추천해 대통령이 임명한다.</p><p>센터는 지난 8일

▲ 최예용 환경안전보건센터 소장이 15일 오전 센터 사무실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규모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참사 피해자 조순미씨(왼쪽 앞)과 안종주 사회안전소통센터장(오른쪽)도 기자회견에 동석했다. 사진=손가영 기자
▲ 최예용 환경안전보건센터 소장이 15일 오전 센터 사무실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규모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참사 피해자 조순미씨(왼쪽 앞)과 안종주 사회안전소통센터장(오른쪽)도 기자회견에 동석했다. 사진=손가영 기자

해외 사망자도 존재… 신고 수, 언론 보도량에 비례

최 소장은 “신고는 해외에서도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12월 말까지 신고된 17명 중 사망자는 3명, 생존 피해자는 15명이다. 센터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내 한 한인마트에서 ‘가습기메이트’(SK케미컬 제조·애경 판매)가, 중국 상하이 내 한인마트에서 ‘옥시싹싹’(옥시레킷벤키저 제조)이 판매된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에 신고된 건수만 614건으로 이 중 사망자는 110명, 생존 피해자는 504명이다. 이 중 20%(127건)가 8월에 쏠려있다.

최 소장은 이에 대해 “관련 보도가 많아지면 신고수가 올라간다. 20년 전 썼던 3천~4천 원 짜리 일회용품을 사용했는지 등은 사실 기억하기 어렵다”면서 “2017년 8월8일 문재인 대통령이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고 8월9일 피해구제법(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이 시행되며 언론보도가 많아졌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신고를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체 피해신고 중 약 70%를 차지하는 4059건이 2016년에 쏠려 있다. 2016년은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관련한 국회 국정조사가 이뤄지고 옥시불매운동 등이 벌어졌던 해다. 센터는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엄청난 언론보도를 통해 사용자들이 가습기살균제 사용과의 관련성을 인지하게 되면서 신고를 많이 했다”고 평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