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편성채널은 각종 특혜를 통해 그 어떤 사업자보다 빠르게 성장했다. 다수 사업자가 올해 흑자전환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보도프로그램 비율이 높고 재방송이 반복됐다. 내용에도 문제가 심각했다. 정부여당 추천위원이 다수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출범 이후 555건이나 심의 제재를 받았다. 종편 출범이 외주제작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2012년 이후 제작비는 오히려 줄고 있는 추세다. 지난 5년간 종합편성채널 관련 주요 통계를 정리했다.

종편 방송매출액 1조 돌파, 연내 흑자전환 예상

종편4사는 출범(2011년 12월1일) 이후 지난해까지 1조188억 원에 달하는 방송매출액을 기록했다. 2011년 846억 원에서 2012년 2264억 원, 2013년 3062억 원, 2014년 4016억 원으로 빠르게 방송매출이 늘었다. 방송매출은 광고매출, 협찬매출, 방송프로그램 판매매출 등을 포함한다. 

매출 증가 폭은 JTBC가 가장 컸다. JTBC의 지난해 방송매출액은 전년 대비 50.7% 늘어난 1972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TV조선(28.3%), 채널A(22.9%), MBN(19.9%)순으로 전년 대비 방송매출액이 늘었다. 

종편4사는 JTBC를 제외하고 연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V조선은 지난해 흑자전환을 했다. 채널A는 지난해 영업손실이 8억 원에 불과했고, MBN 역시 67억 원에 불과해 올해 흑자전환을 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JTBC는 지난해 영업손실이 564억 원에 달했다. JTBC가 매출이 높지만 영업손실 규모가 큰 이유는 콘텐츠 투자 규모가 다른 종편보다 크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JTBC의 콘텐츠 투자액은 1306억 원에 달했다. 이는 채널A(600억 원) TV조선(476억 원)의 같은 기간 콘텐츠 투자액을 합친 것보다 컸다.

▲ MBN의 경우 종편 개국 이전 보도채널 때 매출이 반영됐다. 디자인=이우림.
독특한 점은 종합편성채널의 경우 다른 사업자들보다 협찬매출의 비중이 비정상적으로 크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종편4사의 협찬매출은 1345억 원으로 광고매출(2863억 원) 대비 절반에 육박했다. 지상파의 협찬매출(7748억 원)이 광고매출(3조4736억 원)의 4분의 1수준인 것과 대조적이다. 

협찬은 곧 음성적인 광고거래가 될 수 있다. 간접광고와 달리 방송사가 광고주와 직거래할 수 있고 허용범위와 시간 등이 방송법에 규정되지 않아 규제의 사각지대로 꼽힌다. MBN은 보도프로그램에서 정부기관을 홍보하고, 협찬을 받은 대가로 재방송을 내보내는 등 불법적인 협찬영업으로 지난해 방통위로부터 과태료를 부과받기도 했다. 

의무전송 이중특혜로 벌어들인 돈, 올해까지 1800억 넘길 듯

빠른 성장의 배경에는 특혜가 자리 잡고 있다. 종편의 대표적인 특혜인 의무전송으로 벌어들인 돈이 올해 1800억 원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 자료를 종합하면 종편4사가 출범 이후 4년 동안 케이블·IPTV 등 유료방송 플랫폼에 방송을 무조건 틀게 하는 의무전송 ‘이중특혜’를 받았으며, 이를 통해 지난해까지 1286억 원을 벌었다.

통상적으로 지상파의 경우 의무전송을 하면 전송비용을 받지 않지만, 종편은 의무전송을 하면서도 전송비용을 받고 있다. 2012~2015년 동안 의무전송 매출(수신료)은 TV조선이 330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JTBC 321억 원, MBN 319억 원, 채널A 316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종편의 의무전송 매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해왔다. 채널A의 2015년 의무전송 매출은 124억 원으로 2012년 4억 원에 비해 31배나 증가했다. JTBC의 경우 12.6배, MBN 11.3배 TV조선 10.6배 증가했다.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시장조사과 관계자는 “최초에는 재송신 대가를 지급하지 않던 일부 유료방송도 2013년 대가를 지급했고, 전반적으로 종편 시청률이 높아진 게 매출이 올라간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도프로그램 편성비율 평균 36%, 지상파보다 10% 이상 높아 

종편은 여전히 ‘종합편성’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방통위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추산하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종편 4사의 보도프로그램 편성비율은 36%로 나타났다. 이는 평균 18~20%인 지상파와 비교해 10% 이상 높다. 특히 TV조선이 44.4%로 절반가량을 보도프로그램으로 편성했으며 채널A(40.37%), MBN(39.07%), JTBC(20.1%)순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방송통신위원회가 ‘주 시청시간대 보도프로그램 비율이 42% 넘을 경우’ 제재하기로 결정하면서 보도프로그램 비율은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1~3월 종편 보도프로그램 비율은 TV조선 38.9%, MBN 30.2%, JTBC 21.7%, 채널A 20.8%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장르를 결정하는 건 방송사 재량이기 때문에 시사토크프로그램을 예능, 교양 프로그램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 종합편성채널4사 로고.
재방송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은권 새누리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JTBC, TV조선, 채널A, MBN 등 종편4사의 평균 재방송 비율은 50%에 육박했다. JTBC의 재방송 비율이 2014년 57%, 2015년 48.2%로 나타났고, MBN의 경우 2014년 50.7%, 2015년 50.2%였다. 반면 TV조선은 각각 36.4%와 42.1%, 채널A는 41.4%와 38.3%로 상대적으로 재방 비율이 낮았다. TV조선과 채널A가 대대적으로 편성하는 뉴스와 시사토크 프로그램은 재방송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보도프로그램 편성비율이 낮을수록 재방송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편의 재방비율은 개국 초기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지난해까지 555건 심의제재, 종편 시사교양 문제 압도적

‘종일편파방송’이라는 별명처럼 방송 내용에도 문제가 많았다. 종편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55건의 심의제재를 받았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발간한 ‘2015년 방송심의사례집’과 ‘종합편성채널 방송심의 의결현황’을 종합한 결과다.

특히 최근 들어 시사교양장르에 대한 심의제재 비율이 90%를 넘었다. 지난해 종합편성채널이 받은 심의제재 207건 중 뉴스 및 시사토크 장르에 해당하는 보도·교양프로그램에 대한 제재만 192건에 달했다. 종편 전체 프로그램 중 보도·교양프로그램의 제재 비율은 2012년 53.7%(43건)에서 2015년 92.75%(192건)로 급증했다. 가장 제재를 많이 받은 채널은 TV조선이다. 553건 중 228건의 제재가 TV조선에 몰렸다. 지난해만 보더라도 TV조선 94건, 채널A 61건, MBN 29건, JTBC 23건 순으로 TV조선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 중에서도 TV조선 ‘장성민의 시사탱크’는 지난해에만 30건의 제재를 받았는데, 이는 TV조선이 지난해 받은 전체 제재의 3분의 1에 달한다.

▲ TV조선 '장성민 시사탱크' 화면 갈무리.
물론, 심의제재가 방송의 문제를 판단하는 완벽한 척도는 아니다. 방통심의위는 정부여당 추천 위원이 다수이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은 제재를 내린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지난해 심의안건에 올랐으나 ‘문제없음’으로 결론 난 종편 프로그램이 26건에 달했다. 

TV조선이 압도적으로 많은 제재를 받고 있지만, 제재 내용을 살펴보면 방송사 재승인에 감점을 받는 법정제재 비율은 34%에 불과했다. 채널A와 MBN 역시 행정지도가 법정제재보다 3배가량 많았다. 

반면 JTBC의 경우 지난해 받은 23건의 제재 중 절반이 넘는 12건이 법정제재였다. 정부에 비판적인 방송을 해온 JTBC만 유독 법정제재 비율이 높은 것이다. 지난해 12월 JTBC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해외 언론도 주요하게 보도하고 있다”면서 보도에 인용한 뉴욕타임스 사설 날짜를 오기했는데, 단순 실수임에도 이례적으로 법정제재를 받았다. 당시 야당추천 윤훈열 위원은 “정부를 옹호하는 보도에 문제가 있으면 전부 경징계를 내리는데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는 재갈 물리기를 하는 것처럼 심의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시청자 민원도 시사토크프로그램에 집중됐다. 올해 1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시청자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심의 민원을 가장 많이 제기한 종편 프로그램은 채널A ‘쾌도난마’(94건)다. 이어 채널A ‘종합뉴스’가 76건을 차지했으며 TV조선 ‘시사탱크’(73건), ‘뉴스쇼판’(65건), ‘뉴스를 쏘다’(64건) 순으로 나타났다. 2015년의 경우 TV조선의 ‘시사탱크’가 심의민원 97건을 받아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채널A 쾌도난마(56건), 뉴스TOP10(51건), 신문이야기 돌직구쇼(46건)가 2~4번째로 민원이 많았다. 

제작비 증가? 개국 초기 ‘반짝’ 늘었다 급감 

개국 당시 종편이 출범하면 경쟁체제가 도입돼 프로그램 평균 제작비가 늘어나 외주제작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결과는 일방적인 제작비 삭감과 갑질로 귀결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지난 1월 발간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프로그램 제작과 구매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종편 도입 이후 제작비가 크게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편이 2012년 외주제작에 쓴 돈은 1995억 원이었으나 2014년 1339억 원까지 떨어진 상태다.

특히 2014년 종편의 제작구매비는 전년에 비해 28.9%나 감소했다. 보고서는 “종편은 사업 시작 이후 2012년에는 방송프로그램 제작, 구매비가 크게 늘었으나 누적 적자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제작구매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개국 초기 제작비 100억 원이 투입된 TV조선 드라마 ‘한반도’가 2012년 조기종영하는 등 종편의 실적부진이 이어지면서 제작비가 적게 드는 시사토크 프로그램 편성을 크게 늘린 게 일차적인 원인으로 보인다.

제작비가 좀처럼 늘지 않는 데는 종편의 ‘갑질’도 관련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개국 초기 계약을 약속했으나 일방적으로 종방을 통보해 제작비를 외주제작사가 부담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일방적으로 계약비를 회당 500만~600만 원 깎는 경우도 있다. 

독립제작사협회 관계자는 “제작비와 외주제작사 권리문제는 여전하다. 종편 도입 이전이나 이후나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면서 “JTBC는 외주비율 자체가 적고, 채널A와 TV조선은 제작비 자체를 낮게 책정한다. MBN이 그나마 다른 채널보다 처우가 낫다고 생각됐는데 올해 들어 인센티브를 줄이는 추세”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