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는 특별하다. 재원구조는 상업방송인데 소유구조는 공영방송이다. MBC사장은 MBC의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이사진이 뽑고, 방문진 이사들은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임명하며, 방통위원장은 대통령이 고른다. 사장 임명구조는 KBS와 유사하지만 수신료 대신 광고로 돈을 벌어야 한다. 정치권력과 자본 양쪽에서 어려움을 겪을법하다.

그런데 MBC는 양쪽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쉽게 말해 과 <무한도전>의 균형이라 하겠다. 제작 자율성이 보장되는 자유로운 사내 분위기는 구성원의 창발성을 극대화하며 풍자와 리얼버라이어티 영역을 개척한 <무한도전>을 탄생시켰다. 국장책임제와 공정방송장치는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조작과 광우병 쇠고기의 위험성을 고발하는 을 뒷받침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탄생한 MBC노동조합은 군사정권 시절 ‘땡전뉴스’의 오명을 벗고 ‘주인’ 없는 MBC를 경쟁력있는 공영방송으로 이끌어온 힘의 원천이었다. 노조는 광고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콘텐츠 경쟁력이 강화되는 가운데서도 콘텐츠의 공영성에 대한 성찰을 내부에서 이끌어왔다. 보도와 시사교양 뿐만 아니라 예능과 드라마, 라디오도 예외는 아니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위 ‘낙하산’ 사장이 임명되며 MBC가 격랑에 휩싸일 때 경영진을 견제하며 중심을 잡아온 곳도 노동조합이었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네오의 힘이 강해지자 스미스 요원의 힘이 강해진 것처럼, MBC가 갖는 사회적 영향력이 커진 만큼 정권이 MBC에 대한 장악 욕망을 드러낼 때마다 노조의 행동이나 영향력 또한 강해졌다.

그 결과 MBC는 수구 보수진영으로부터 ‘노영방송’이란 타이틀을 갖게 됐다. MBC 경영진은 3일 회사특보를 통해 노조의 비판을 ‘근거 없는 비난에 의한 해사행위’로 규정하고 “‘김재철의 MBC’를 거명하는 것은 ‘노조의 MBC’를 통해 노영방송을 구현하고자 한다는 외부의 지적을 인정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노영방송’은 MBC에 입사한 사원들이 전부 종북 좌파에 운동권 출신이어서 탄생한 것이 결코 아니다. 오히려 MBC를 공정방송으로 견인하기 위해 내부 성원들 간에 지속된 수없는 갈등의 결과물로 봐야 한다. 이 때문에 “(노조가) 회사와 회사의 프로그램을 비난하는 행위는 스스로 삶의 터전을 망가뜨리는 것”이라는 경영진의 주장은 힘없이 무너진다.

MBC 조합원들은 오히려 삶의 터전을 되살리기 위해 살을 깎는 자사비판에 나서고 있다고 보는 게 맞다. 더욱이 언론사 구성원들이야말로 누구보다 자사비판에 자유로워야 하는 데도 경영진이은 출구 없는 논리를 통해 올림픽 중계로 더욱 불거진 MBC 비판여론을 무마하려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진숙 기획홍보본부장 등 현재 사측 간부들도 과거에는 노조 조합원 신분으로 공정방송을 위한 파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MBC 사측 관계자들 중에서도 “노조가 경영진의 건전한 견제세력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데에 이의를 제기할 만한 이는 거의 없다. 임금 및 단체 협상 외에 언론사 노조가 갖는 역할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의 시사교양PD와 <무한도전> 예능PD가 같은 집회에 나와 사장 퇴진을 외칠 수 있는 것은 노조라는 교집합 속에서 공영방송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합원들의 이 같은 인식은 MBC를 ‘구태’에 머무르지 않게 하는 힘의 근원이다. 이런 점에서 ‘노영방송’은 MBC만의 경쟁력을 표현하는 또 다른 수사라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